레이블이 디자인유학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디자인유학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8월 4일 화요일

미술/디자인 유학을 준비하는 AP Studio Art

미술/디자인 유학을 준비하는 AP Studio Art

미술유학/디자인 유학을 꿈꾸는 고등학생이라면 AP Studio Art를 통해서
해외대학 진학을 미래를 준비하라.

(Source: AP Studio Art Brochure)

이 자료는 유학미술 나비스쿰에서 제공합니다.

AP (Advanced Placement)란 무엇인가?

AP란 미국의 고등학교 우수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대학수준의 과정이다. 따라서 AP과정은 명문 대학에서 제공되는 기초수준의 강의를 기준으로 구성된다. AP과정을 통해서 우수한 학생들은 일반적인 고등학교 수준의 강의로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갈증을 채우게 될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으로 한걸음 더 일찍 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과정이 종료될 때, 학생들은 AP시험을 치르게 되는데 이 시험은 전체 AP과정 이수학생들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으로 학생들이 얼마나 대학수준의 강의를 잘 이해했나를 측정하게 된다. AP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학생들은 대학에 가서도 해당과목을 수업을 듣지 않고 이수를 하거나 보다 고급의 과정을 들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AP과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AP과정은 학생들에게 지적인 도전이기도 하지만 이 과정의 이수가 주는 장점도 많이 있다. 첫 번째로 고등학교 학습상의 장점을 들 수 있는데, 고등학교에서 들을 수 있는 최상급의 과정이며, 잘 만들어진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또한 AP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 대학입학에서의 장점을 들 수 있다. 대학입학 과정에서 AP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이수했다는 것은 대학을 진학할 자질이 있는 학생이라는 증거가 되며 많은 대부분의 대학들에서 AP과정이수 학생들에 대해 입학사정에서 보다 유리한 점수를 주고 있다. AP 과정의 우수 이수자들에게는 다양한 시상도 하고 있다.

세 번째로, 대학 입학후의 장점을 들 수 있다. 많은 대학에서 AP과정에서 이수한 과목이 대학의 기초과정인 경우, 해당과목의 이수를 면제해 주기도 하고 차상위의 과정을 바로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P과정의 이수를 통해 대학의 졸업을 한 학기 이상 앞당기는 학생들도 있다.

(Source: https://www.collegeboard.org/)

미국의 교육과정에서 AP 과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미국이나 영국 등의 대학입학은 입학사정관제도로 하나의 입학조건이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대학입학 자격을 심사한다. 미국의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수능에 해당하는 SAT 뿐만 아니라 내신성적인 GPA, 추천서, 에세이 등 다양한 측면을 보게 되는데, 이 중 GPA는 대부분 고등학교 수준의 일반 수업 혹은 우등(Honor)과정 수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대학 수준의 강의를 잘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완벽한 기준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수의 과목(일반적으로 3~4)에 대해서 대학 수준의 수업을 들어보고 평가를 받아보면, 이 학생이 얼마나 대학수업에 잘 맞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이 AP가 갖는 의미이다. 대학의 각 전공들은 필수적으로 생각되는 기초과정이 있으므로 이런 기초과정을 미리 고등학교에서 들어보면 학생들의 입장에서도 이 전공이 나에게 잘 맞는지를 미리 체크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술전공이나 디자인전공 분야에서 대학의 기초과목은 드로잉, 2D 디자인, 3D 디자인 등이 있다. 이런 과목을 미리 들어본 학생들은 자신이 대학에서 이런 전공을 택해서 성공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P와 유사한 과정은 어떤 과정들이 있는가?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과 유럽의 대학들은 AP 과정과 같이 대학수준의 과정을 미리 공부해 본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을 선발하는 전통이 있다. 예를 들어 영국에는 A Level이라고 하는 제도가 있는데, AP와 유사한 제도로 명문 대학을 가기 위해서는 거의 반드시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필수적인 과정이다.

또 다른 예로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가 있는데 많은 국제학교에서 적용하고 있는 이 과정은 AP와 유사하게 대학진학에서 유리한 과정이 된다. 실제로 미국과 영국 등의 많은 대학에서 AP, A Level, IB의 우수 성적자들에게 대해서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Source: AP Studio Art Course Overview)

AP 과정은 어떻게 운영이 되는가?

AP 과정이 일반 과정에 대해서 거지고 있는 차이점은 커리큘럼의 수준과 교사, 그리고 테스트에서 나타난다. AP 과정은 미국의 컬리지보드 (College Board)라고 하는 기관에서 관리하는데, 각 과정의 표준 강의계획서가 있어서 어느 고등학교에서 운영이 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의 수준을 보장하게 된다.

AP 과정의 강의는 일반 고등학교 교사가 아니라 컬리지보드에서 인정받은 AP 교사가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 교사들의 강의에 비해서 AP 강의는 보다 잘 관리된 교사들에 의해서 진행되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 과정과는 달리 AP 테스트는 학교 내에서 채점이 끝나지 않는다. 전체 AP의 표준화된 채점 방식에 의해서 채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디서 AP 수업을 듣든지 동일한 수준의 채점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떤 AP 수업에서는 고득점자가 많이 나오고, 어떤 수업에서는 적게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AP 과정은 누가 들을 수가 있나?

AP 과정은 미국의 고등학생들을 위해서 개발된 과정이기는 하지만 세계의 모든 고등학생들에게 그 문호가 열려 있다. 심지어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당연히 한국의 고등학생들도 AP 과정의 수업을 듣고 시험을 치는 것이 가능하다. 미국의 대학들뿐 아니라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AP 과정을 인정하고 있으므로 해외유학을 준비하고 있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이라면 AP 과정의 이수를 진지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Source: https://www.collegeboard.org/)

AP 과정과 미술유학 / 디자인유학

미술유학 혹은 디자인유학과 관계가 있는 AP 과정은 스튜디오아트(Studio Art)과정으로 세부적으로는 2D 디자인, 3D 디자인, 드로잉의 3과목이 있다. 미술과 디자인 유학을 생각하는 학생들은 이 과정들을 이수함으로써 미술유학, 디자인 유학의 기초를 마련함과 동시에 입학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스튜디오아트 과정들은 다른 과정들과는 달리 시험이 아니라 포트폴리오를 통해서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차이점도 있다.

미국의 대부분의 대학들이 입학과정에서 AP 과정의 이수를 인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국의 대학들도 입학에 있어서 2개 이상의 AP 과정 우수이수자 (3점 혹은 4점 이상)들은 파운데이션 과정이수와 동일한 기준으로 보고 대학입학의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영국은 고등학교까지 13학년제로 우리와 다르므로 영국 미술유학, 디자인유학을 위해서는 AP 과정의 이수가 아주 유리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AP 과정을 듣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

AP과정을 이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는 AP 과정을 제공하는 일반 고등학교는 거의 없고 국제학교들을 중심으로 AP과정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4~2015년 학기에 2D 디자인 과정을 제공하는 한국에 있는 고등학교는 Asia Pacific International School, Daegu International School, Korea International School, Korea Kent Foreign School, Saint Paul Preparatory School Seoul, Seoul International School, Yongsan International School 7 곳이다.

AP 스튜디오 아트 과정에 적합한 학년은 중3~2 학생들이다. 수업은 매년 9월에 시작이 된다. 스튜디오아트 과정을 듣고자 하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은 유학미술나비스쿰 (02-517-2207)로 문의하면 된다.


참고자료


- http://apcentral.collegeboard.com/

2015년 7월 10일 금요일

독일의 미술/디자인 전통과 유학 조건 - 미술/디자인 유학

독일의 미술/디자인 전통과 유학 조건 -  미술/디자인 유학




 (사진: www.alanus.edu)


이 정보는 유학미술나비스쿰에서 제공합니다.

독일 예술 교육의 전통

전통적인 손에 잡히는 예술 교육의 전통은 독일에서 건재하다. 시각 예술, 공연 예술, 음향 예술 공부에 관심이 있는가? 그래픽 및 제품 디자인, 섬유, 또는 타이포그라피를 공부하고 싶다면? 독일은 예술에 있어서 많은 뛰어난 예술 학교의 고향일 뿐만 아니라 예술에 대한 다양한 지원의 역사도 풍부히 가지고 있다.

예술의 생산, 예술가의 교육, 예술사 연구의 중요성은 독일 예술교육 학위의 수준을 높여주고 있다. 최초의 현대 미술 비평가들은 독일의 계몽주의 작가들이었고, 미술사는 20 세기의 상당기간 동안 독일 학자들에 의해 지배되었다. 독일 외 많은 미술사 석사 학위과정에서는 여전히 독일의 기초 원본 저작물들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독일어 지식을 필요로 한다.

1920년대와 1930년대 바우하우스는 예술 생산과 디자인 이론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디자인과 제품들을 내 놓았다. 이 학교의 모더니즘에 대한 포용, 전체적인 디자인 접근 방법과 교수법은 이 학교가 문을 닫고 나서도 수십 년 동안 건축, 산업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인테리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 학교의 많은 교수들과 사상가들은 전쟁을 통해 전 세계에 퍼져 나가서 가는 곳마다 학생들과 제자들을 끌어들였다.

2차 세계대전 후에 독일이 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어지면서, 주로 대학들을 중심으로 예술의 중심지들이 생겨났는데, 이들은 예술 생산의 허브로서 등장을 했다. 이것들은 보통 예술가들과 그 주변의 서로 다른 정체성과 정치를 반영했고, 여기의 핵심적인 예술가들은 멘토 혹은 교사의 역할을 하면서 주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집단을 만들었다.

독특한 성격의 예술가-교사의 가장 명백한 예는 요셉 보이스(Joseph Beuys)로서 뒤셀도르프 미술대학 (Kunstakademie Düsseldorf)에서 1960년대와 70년대에 주재를 했던 상징적인 조각가였다. 베른트 베겔(Bernd Becher)도 또한 그의 아내 힐라와 함께 1970년대에 뒤셀도르프 미술대학에서 가르치기 시작해서, 안드레아스 거스키 (Andreas Gursky), 칸디다 호퍼 (Candida Höfer) 같은 독일의 사진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체계적인 사진의 '베체르 학파(Becher School)'스타일의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동독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예술 학교 중 하나인 라이프찌히 시각예술 아카데미 (Hochschule für Grafik und Buchkunst in Leipzig)는 가장 최근의 'Neue Leipziger Schule (신 라이프찌히 학파)’를 만들어낸 것으로 잘 알려진 작가 네오 라우흐 (Neo Rauch)와 함께, 1970년대 이후 중요한 작가의 두 흐름과 연결되어 왔다. 라우흐는 자신의 모교에서 예술 학생들과 선도적인 예술가들 사이의 독일식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서 새로운 새대의 예술가들을 길러내는 특별한 방식의 현대적인 사례를 만들어 냈다.

(사진: www.kh-berlin.de)


현대의 독일 예술 교육

예술 공부를 원하는 학생들이 독일에서 기대할 수 있는 기회는 다양한 학위 과정 뿐만 아니라 권위있는 교수진과 스튜디오 집약적인 스타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랑크푸르트의 슈테델슐레 (Städelschule)의 학생들은 스코틀랜드 작가 더글러스 고든 (Douglas Gordon)과 영화를 공부하거나 유명한 작가의 영국 작가 사이먼 스탈링 (Simon Starling) – 둘 모두 터너상(Turner Prize)을 받는 사람 - 과 함께 순수 미술을 공부할 수 있는데, 이것은 세계적인 예술가들이 이 학교에서 가르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자, 높은 수업과 교수들의 수준을 보여준다. 베를린 예술대학교 (Universität der Künste)에서 학생들은 이 도시의 문화적인 생활을 즐김과 소속 4개의 대학 중 한 곳에서 30개가 넘는 인문-과학 관련 전공 중 하나를 공부할 수 있다. 또 다른 베를린의 바이센제 미술대학 (Weißensee Kunsthochschule Berlin)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미술과 디자인의 기본 원리를 포괄하는 1년의 학제간 프로그램으로 시작하는데, 이 대학의 13개 워크숍과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문화 간 교류에 참여하도록 권장되고 이 학교에는 많은 수의 외국 유학생들이 있다.

독일의 예술 교육 프로그램들이 학문적으로는 느슨하게 구성되는 경향이 있지만, 개별적인 스튜디오 작업에 강한 중점을 두고 있어, 특히 (동기 부여가 된!) 학생들에게 자신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자유를 주고 나중에 도움이 될 교수와의 전문적인 관계를 구축해 향후 자신의 경력을 시작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학업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미술사와 철학 등 몇 가지 필수 과정을 포함하지만 첫 해가 지나면, 학생들은 자신 연구의 나머지 작업을 같이 할 한 명 또는 두 명의 교수를 선택한다. 이러한 관계는 학생들의 스튜디오 작업의 몇 주마다 있는 일련의 그룹 토론,  대화, 세미나, 그룹 비평과 연계되어 교수와 동료 모두로부터 피드백을 제공받는다. 교수 스스로가 현직의 작가로서, 종종 국제적 명성과 경력을 가지고 있어, 독일에서 공부하는 예술가는 전문 예술 세계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것을 배울 것이다.

외국 학생들은 1년 혹은 그 이상 게스트로 독일 예술학교에 등록 할 수 있어, 이미 학사 학위를갖고 있지만 특정한 교수와 더 공부를 하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있다. 예를 들어 뒤셀도르프 미술대학에서, 학생들은 교수들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예술가로서의 경력을 쌓는 동시에 트레이닝을 받는 것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풀 타임으로 대학에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은 독일어 능력 B2 레벨을 가질 필요가 있지만, 게스트 학생들은 항상이 요구 사항이 필수인 것은 아니다. 특정 학교에 대한 언어 요구 사항은 별도로 찾아볼 필요가 있다.

장인으로서 또는 예술가로서 창조 산업에 입문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또한 독일에서 제공하는 집중적인 도제 훈련 프로그램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중등 교육에 대한 독일의 '듀얼 시스템'의 일환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3년간 장기간의 견습 수업을 통해 특정 기술이나 예술적인 기법을 훈련하고, 고도로 숙련 된 장인이 될 수 있다. 견습생의 약 90 %가 성공적으로 훈련을 완수하는데 (급여도 받으면서),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견습 체험을 한 회사에서 직접적인 경험을 가진 숙련된 직원으로 남는다. EU 시민은 독일의 견습제 신청할 수 있다.

대부분의 독일 대학교는 주정부에서 지원을 받아서 학사 학위와 많은 석사 학위 프로그램은 무료 또는 학기당 500 유로 정도의 비용이다. 미술 공부에 별다른 비용이 들지 않는다. DAAD 웹사이트에는 독일에서 공부를 하는 외국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에 대한 정보가 있다.

(사진: www.alanus.edu)


한국인의 독일유학 (학부 Bachelor)

독일에 유학하는 방법은 다양다.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장기간 유학할 수도 있고 단기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나 독일대학 여름방학 코스 (섬머스쿨)에 참가할 수도 있다. 이 때 유의해야 할 것은 독일 대학제도가 미국과 동일한 것도, 한국과 동일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많은 부분이 유사하지만, 독일대학에는 독일 대학만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우선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이나 학과를 검색하고 홈페이지 등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교환학생이나 섬머스쿨 등에 참가하고 싶을 경우 지금 다니는 대학교나 지원하고자 하는 독일대학에 먼저 문의해야 한다. 그리고 일정 수준 이상의 어학실력을 제출하여야 한다.

독일 대학에서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유학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유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웹사이트나 정보를 미리 조금씩 모든 다음, 충분한 시간을 갖고 준비하여야 한다. 적어도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여유를 갖고 어학도 준비하고 다른 조건들도 꼼꼼히 챙기실 것을 권한다. 독일 현지에서 처음부터 모든 것을 준비하는 것은 비용이나 효율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독일 학부유학 지원 조건

- 고등학교 졸업 후 수능시험
- 수능성적 평균이 62% 이상(수능에 응시한 모든 과목을 합하여 나눈 평균) 또는 4.4 등급 이상
- 내신성적에서 3년간 주요과목에 8, 9 등급이 없을것
 * 주요과목: 국어, 외국어, 수학, 생물/화학/물리/지구과학 (지리가 아님) 중 한 과목.
- 이상의 조건을 모두 만족 시키면, 독일대학에 바로 지원할 수 있다.

참고: DAAD (독일학술교류처)


이 정보는 유학미술나비스쿰에서 제공합니다.


참고자료


2015년 6월 22일 월요일

건축대학(원) 유학포트폴리오 준비방법 - 미술유학 / 디자인유학

건축대학() 유학 포트폴리오 준비 방법


(http://www.arch.rpi.edu/)


본 자료는 유학미술 나비스쿰에서 제공합니다.


건축대학()은 공학과 예술의 접합점이기 때문에 미술적인 면을 대표하는 포트폴리오의 제출이 필수적이다. 건축대학() 유학을 위한 포트폴리오는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지 알아본다.

포트폴리오 작성의 가이드라인

건축대학() 입학을 위한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는 많은 일반적인 오해가 있다. 그 중의 한가지: ‘당신이 벌써 건축가일 필요는 없다!’ 이것은 무슨 말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건축학과에서는 이미 지원자가 이미 건축가로서 얼마나 훌륭한지를 판단하려고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불합격한 포트폴리오들은 자주 CAD 작품이나 건물 평면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합격한 학생들이 이미 훌륭한 건축가들이라면 건축대학들은 도대체 무엇을 가르친단 말인가?’ 지원자의 포트폴리오는 빌딩 디자인을 단 한 장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정작 포함되어야 할 중요한 것은 창의적인포트폴리오다. 당신이 건축대학()에 합격을 했다면 자신의 내부에 창의적인 능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것이다.

(http://www.arch.rpi.edu/)

합격을 위해 중요한 고려 사항

건축대학() 유학을 위해서는 다음에 대해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어떤 수업을 들어야 하는가?
- 건축학과에서 원하는 경험을 어떻게 쌓을 것인가?
- 본인의 창의성을 자극시킬 방법
- 추천서를 누구에게 부탁할 것인가?

(http://www.arch.rpi.edu/)

어떻게 하면 당신이 건축대학()에 합격을 하나?

건축대학()에 지원할 때 제출하는 포트폴리오를 포함한 많은 자료들의 목적은 건축학과의 입학 심사위원들에게 짧은 시간 내에 당신이 미래의 건축가로서 자질이 있다는 것을 판단하도록 해주는데 있다. 그러므로 당신이 제출하는 여러 자료들이 따로 놀아서는 안되고 당신이 하고 싶은 핵심적인 한마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한 마디란 도대체 무엇인가? ‘타고난 건축가’, ‘모델을 잘 만드는 사람’, ‘다리 만드는 것만 생각하는 사람’, 등이 아니겠는가?

사실 건축대학()에 지원하면서 해야 하는 것은 당신이 지원하는 학교의 상황에서 당신이 모든 경쟁자 보다 낫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당신이 좋아하든 아니든 이것은 당신 개인에 대한 마케팅이며, 비슷비슷한 지원서에 지루해 하는 입학담당자들에게 정확하게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에 실패하면 그들은 한 몇 분 당신의 포트폴리오를 뒤적이다가 다음 지원자에게 관심을 돌릴 것이다.

(http://www.arch.rpi.edu/)


여기에서 핵심은 당신은 절대 포트폴리오에서부터 시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 포트폴리오를 위한 포트폴리오는 안되고 항상 당신의 에세이 초안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4가지의 핵심에서 시작하라. 1) 당신은 누구인가? 2) 당신은 무엇이 되고 싶은가? 3) 건축대학()에서 당신은 이 길을 어떻게 갈 수 있는가? 4) 어떻게 이 학교(하버드, MIT, 코넬, 혹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이든 또는 당신이 지원하는 어느 대학이든)가 구체적으로 당신이 가려고 하는 길에 도움이 되는가? 에세이를 쓰는 것을 번지르르한 말을 늘어 놓는 기회로 생각하지 말고, (이런 건 입학 담당자들에게 먹히지 않는다) 당신()이 스스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연습으로 생각하라. 어휘는 단순해야 하고 당신을 편안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을 찔러야 한다.

에세이의 기초를 잡고 나서는 당신이 건축학과의 교육에서 무엇을 찾고자 하는지, 당신만이 학과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는 핵심적인 문장을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난 다음에는 당신을 한 문장으로 농축할 수 있는 문장을 만들어 내어야 한다. 이 문장이 당신이 이 학과에 지원하는 핵심이 된다. 이 문장을 결정하고 나서는 즐겁게 이 문장과 이 문장의 아이디어를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나머지 지원 자료들을 만들어 내면 된다. 항상 모든 것이 이 문장과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것은 고급의 판단과 사고를 요하는 다단계의 과정이지만, 그 첫 단계는 당신이 표현하려고 하는 메인 아이디어를 머리 속에서 아주 분명하게 그리는 것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른 모든 것은 그 다음에 어떻게, 어떤 작업들을 할 것인지, 기존의 작업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보여줄 것인지 생각하면 된다.


본 자료는 유학미술 나비스쿰에서 제공합니다.


참고자료